call vs Response 차이 1. Call - Call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, 각각의 Call은 자체적으로 HTTP 요청과 응답 쌍을 생성한다. execute() : 동기적 실행하기 때문에 UI를 차단한다. enqueue() : 비동기적으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반환한다. 서버와 통신 중에 유저와 화면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장. 2. Response - 요청 이후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. Response는 성공일 수도, 실패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각 케이스에 대하여 핸들링 필요. 3. Call vs Response - Call은 서버에 대한 요청과 응답 결과에 대한 반환을 한 번에 수행하고, Response는 요청 이후 응답 결과에 대한 반환만 수행한다. https://velog.io/..
Kotlin - coroutine : 콜백 대신 오래 실행되는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 콜백기반 -> 순차코드 코루틴 속성 : 비동기(=nonblocking) 일시 중단 함수를 사용하며 비동기 코드를 순차적으로 만든다. 중단과 suspend의 차이점 : 쓰레드가 중단되면 다른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다. 스레드가 일시 중단되면 결과를 사용할 수 있을 떄까지 다른작업이 수행됩니다. 코루틴의 필요한 3가지 작업 : 취소할 수 있는 모든 것 디스패처 : 다양한 스레드에서 실행되도록 코루틴을 보낸다. 범위 : 코루틴이 실행되는 컨텍스트를 정의. 코루틴의 작업 + 디스패처에 대한 정보를 결합. viewmodelscope : onCleared() 호출할 때 직접 coroutine context를 명시적으로 취소를 하지않아..
withContext, async 차이 suspend 코루틴 함수를 정의하는 키워드. 기존 스레드 작업과 코루틴, 비동기 작업 순차진행 Suspend - resume suspend 함수가 호출될 때, 기존 진행 코드는 멈춘다.(suspend) 그리고 이 함수가 끝날 때 기존 진행 코드가 실행된다.(resume) CoroutineContext가 지정한 쓰레드에서 동작. IO Thread 함수 실행 ? withContext : CoroutineContext를 실행 인자와 suspend 함수를 인자로 받고 그 CoroutineContext에서 그 suspend 함수를 실행시킵니다. 그리고 부모 CoroutineContext는 이 전체 실행이 끝나고 결과를 반환할 때까지 기다립니다.? CoroutineConte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초조한유녕
- 캔바스
- Inverse Kinematics
- rootmotion
- 언리얼엔진Locomotion
- 유니티 캔바스
- 캔버스
- 언리얼IK
- 세션
- ui
- #ui canvas
- #unity
- 언리얼엔진루트모션
- 쿠키
- 언리얼루트모션활성화
- 애디티브
- additive
- 보행이동기반블렌딩
- 언리얼엔진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