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- call vs Response 차이
1. Call
- Call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, 각각의 Call은 자체적으로 HTTP 요청과 응답 쌍을 생성한다.
execute() : 동기적 실행하기 때문에 UI를 차단한다.
enqueue() : 비동기적으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반환한다. 서버와 통신 중에 유저와 화면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장.
2. Response
- 요청 이후의 응답을 받을 수 있다. Response는 성공일 수도, 실패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각 케이스에 대하여 핸들링 필요.
3. Call vs Response
- Call은 서버에 대한 요청과 응답 결과에 대한 반환을 한 번에 수행하고, Response는 요청 이후 응답 결과에 대한 반환만 수행한다.
https://velog.io/@jeongminji4490/Retrofit-Call-vs-Response-and-Kotlin-Result
'안드로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droid ) WorkManager Chaining (0) | 2023.08.07 |
---|---|
Android) WorkManager Sending Data / Receiver Data (0) | 2023.08.07 |
withContext, async 차이 (0) | 2023.03.29 |
MVVM 디자인패턴 (0) | 2023.03.29 |
어플리케이션 클래스 (0) | 2022.04.06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세션
- 애디티브
- 캔바스
- #ui canvas
- 언리얼엔진루트모션
- 언리얼엔진
- 유니티 캔바스
- 캔버스
- 언리얼루트모션활성화
- Inverse Kinematics
- additive
- 초조한유녕
- 언리얼엔진Locomotion
- #unity
- 보행이동기반블렌딩
- 쿠키
- rootmotion
- 언리얼IK
- ui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